아파치18 파이썬 장고 스터디 후기 작년에 파이썬 장고 해보겠다며 뚝딱 뚝딱 했지만.... 결과적으로 실패했다. 과거 php 했던 기억이 계속 되살아나면서, 한마디로 적응에 실패했다. 장고로 빠르게 개발할 수 있다했는데, 본 책들은 한결같이 간결하다기 보다 복잡했다. 웹에 띄우기. 소위 배포까지 생각하면, 흠 이게 뭔가 싶고...뭐 그랬다. php 는 세팅된 서버에 ftp 전송만 하며 끝나는데, 이것저것 복잡했다. php 의 경우, php 버전과 mysql 만 정해서 진행하면 끝나는데 말이다. 깃허브에 저장 후, aws 같은 서버에서, 아파치,엔진엑스와 서버 설치 세팅을 해야하니, 우분투건 cent 건 리눅스도 기본적인건 다룰 수 있어야 했다. 뭔가 고급스럽고 체계적이다란 생각이 들면서도, 나처럼 혼자 하고, 간단한 사이트나 간단한 용도로.. 아파치 2022. 7. 26. 우분투 vsftpd 설정 sudo vi /etc/vsftpd.conf listen=YES listen_ipv6=NO anonymous_enable=NO port_enable=NO pasv_enable=YES local_enable=YES write_enable=YES use_localtime=YES xferlog_enable=YES chroot_local_user=YES allow_writeable_chroot=YES secure_chroot_dir=/var/run/vsftpd/empty pam_service_name=vsftpd ftpd_banner=Welcome to My FTP Server! ssl_enable=YES rsa_cert_file=/etc/ssl/certs/ssl-cert-snakeoil.pem rsa_priv.. 아파치 2022. 7. 25. 우분투 nginx webdav 설치 목표 /var/www/html/ 안에 dav 디렉토리를 만들고, http:// 주소 /webdav 로 접속하고자 함. Nginx 웹서버 설치 $ sudo apt install nginx nginx-full WebDAV 디렉토리 생성 및 권한설정 $ sudo mkdir /var/www/html/dav $ sudo chown www-data:www-data /var/www/html/dav Nginx 설정 /etc/nginx/sites-available/default 파일의 server 내에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. server 블록 내 location 아래면 적당 charset utf-8; #WEBDAV location /webdav { autoindex on; alias /var/www/html/dav; .. 아파치 2022. 7. 24. 0913-0914 (패러럴즈) 우분투20.04 웹서버 세팅 : 워드프레스 오랜만에 그냥 해봤다. 왜 했니.. 왜 했니... 나만의 웹서버 장점 워드프레스, 그누보드 등 자료 저장용, 메모용으로 사용하고 싶었다. 무료 DDNS 서비스로 하나의 웹서버에 여러 웹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다. 홈페이지 한 개 뚝딱! 필요시, 웹하드로도 쓸 수 있지만, 스트리밍 서비스나, 클라우드가 대중화돼서 불필요한 것 같다. 라즈베리파이 사서 바로 들어가려 했는데, 이상한 귀차니즘인지 패러럴즈로 또 세팅만 해봤다. 오랜만에 처음부터 세팅한 것 요약과 버벅였던 점 우분투 20.04 설치 아이맥 (64G램) 에서 패러럴즈로 우분투 20.04 자동 설치 : 클릭 몇 번에 자동설치가 됐으나, 자동생성된 계정이 Parallels 에 홈디렉토리도 ... 길고 복잡하게 설정돼서, 수정하는 데 더 귀찮았다. ( 정.. 아파치 2021. 9. 15. var 디렉토리 별도 하드디스크로 마운트 추가 하드 장착 후, mount 하기로 했다. 리눅스 망가져서 데이터 날아갈까.. 괜히, 불안하다. ㅠ 그래서, 추가하드디스크에 담기로.. 더 안정적인 방법은 기존대로 놔두고, 세컨하드에는 자동백업을 거는게 맞겠지? 쓸데없는 짓 한 것 같긴 하네 -_-;;; fdisk -l Disk /dev/sda: 119.2 GiB, 128035676160 bytes, 250069680 sectors Units: sectors of 1 * 512 = 512 bytes Sector size (logical/physical): 512 bytes / 512 bytes I/O size (minimum/optimal): 512 bytes / 512 bytes Disklabel type: dos Disk identifier: 0.. 아파치 2019. 8. 10. [원격접속] VNC 와 원격데스크톱 차이? 윈10->리눅스 원격데스크톱 연결 실행환경은 윈도우 10 ----> 민트리눅스 ㅇ VNC 는 서버컴퓨터에 접속해서, 원격 개념이다. 즉, 마우스 움직이고, 타자 입력하는 것까지 다 보인다. ㅇ 원격데스크톱(MS 터미널 서비스)는 여러 사람이 동시에 접속도 가능하고, 화면상으로는 아무런 움직임이 없다. 즉, 동시에 여러사람이 로그인 해서, 각각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!!! MS / T터미널 / SC서비스 VNC 로 접속한 상태 : 현재 화면을 볼 수가 있다. 사용자 감시??? 무서움 +_+ 같은 컴퓨터에서, 동시에 원격데스크톱으로 접속한 화면. ( 이것은 서버 사용자도 모르는 상태에서 다른 작업이 가능하다는.... +_+ ) 둘의 차이에서 보듯이, 동시에 접속했으나, 원격데스크탑은 서버컴퓨터에 보이는 화면과 다른 별도의 화면을.. 아파치 2019. 5. 8. 이전 1 2 다음